Free Board

대학교 구글 드라이브 무제한 정책 변경

마더꽉 2022. 1. 27. 00:54
반응형

대학교 구글 드라이브 무제한 정책 변경

 

작년에 구글에서는 학교계정에 무제한 스토리지 정책을 변경하여 올해 2022년 7월 1일부터 학교 계정당 100TB로 제한을 합니다. 구글의 스토리지 무제한 정책과 구글 포토 압축 형태 무제한 저장 기능을 사랑했던 한 사람으로 아쉽지만, 저장공간을 줄이는 것은 환경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을 해서 어제밤에 많은 동영상(?)을 지웠습니다.

 

 

1. 정책 변경의 배경

구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구글 포토에만 하루에 4억장, 용량으로는 4PB가 저장이 되고, 그동안 저장된 사진은 4조개에 달한다고 합니다. 저도 개인 계정에 아이들 어릴때 부터 모든 사진이 저장이 되어 있고, 지금도 구글 넥스트 허브 및 스마트폰으로 몇년전 오늘부터 아이들 어릴때 사진 콘텐츠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기때 동영상을 찍은 것이 시의 한수라고 늘 생각합니다. 

이러기 때문에 구글에서는 무제한 용량 포기 카드를 계속 만지작 거렸고, 작년에 공식적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작년에 발표한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 포토 압축저장 무제한 변경(2021년 이미 시행중)
  • 학교계정 무제한 스토리지 2022년 7월 1일 변경
  • 2021년 구글 문서 스토리지 용량 산정 --> 2022년으로 변경됨

정책 변경에 따른 대응방법

 

2. 정책 변경에 따른 대응방법

교육버전은 Take Out도 지원하지만 삭제 또는 다운로드를 추천합니다. 다운로드 할 경우에는 데스크톱용 구글 드라이브 사용을 추천합니다. 앞으로 학교계정은 학습용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자별 용량 제한 기능이 현재 개발중이기 때문에 현재처럼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미드나 영화 등은 다양한 서비스에서 무료 또는 유료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영상이 아니라면 삭제 후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3. 스토리지 사용 서비스

스토리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대부분 구글 드라이브입니다. 한 학교 담당자는 10PB를 사용중이라고 알려서 깜짝 놀랐습니다. 다른 대학교도 비슷하리라 생각합니다. 

 

드라이브, 지메일, 구글 포토 정리를 합니다. 나머지는 저장용량이 크기 않기 때문에 효과가 작습니다.

 

4. 구글 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의 대상은 개인 드라이브와 공유드라이브 입니다.

   가. 개인 드라이브 : 데스크톱용 드라이브로 다운 받거나 또는 삭제

   나. 공유드라이브 : 해당 공유드라이브 관리자이면 삭제, 이동, 공유자 삭제 후 공유드라이브 삭제

용량 표시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정리. Classroom 이라는 폴더는 Google 클래스룸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폴더이기 때문에 삭제 금지.

 

5. Gmail

오래된 이메일, 첨부용량이 큰 이메일 삭제. 상세검색에서 크기와 날짜 기준으로 검색하여 삭제

Gmail

 

6. 구글 포토

가급적 사진은 개인 계정에서 사용하고, 그래도 절약하고자 한다면, 고품질로 변경

 

구글 포토
구글 포토

 

7.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

외장하드 사용보다는클라우드 스트로지를 추천하지만, 원하는 스토리지를 사용하세요. 구글One에서 제공하는 유료 스토리지도 한달 사용료가 별다방 커피 한잔도 안되기 때문에 추천합니다. 2TB 구입해서 가족모두, 친구랑 사용도 추천합니다. 또한, 바이두 자회사에서 운영하는Terabox도 1TB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

 

8. 결론

예전에는 저도 2개 외장하드를 구입해서 백업정책을 세우고 열심히 백업하면서 자료를 관리했지만, 클라우드를 사용한 이후에는 보관의 스트레스가 모두 해소될 정도로 생활의 질이 올라갑니다. 동영상은 스트리밍으로 이용하고, 사진을 개인용 구글 포토에서 이용하고, 필요한 자료만 무료 또는 유료로 사용한다면 환경도 보호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제한 정책이 없어졌다고 슬퍼하지 마시고, 이번 설에 구글 드라이브 한번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